*이번 글은 PC에서 웹브라우저를 접속하는 경우에 대한 글입니다.
웹브라우저를 통하지 않고서 우리는 인터넷을 할 수 없다.
컴퓨터는 기계다. 기계가 이해할 수 있는 언어로 전달을 해야 컴퓨터는 그 결과를 우리에게 보여준다.
사람들은 공유하고 싶은 문서나 글을 웹브라우저에 접속하여 작성하고 사람들은 그 글을 웹브라우저를 통해 접한다.
세상은 웹브라우저의 손아귀에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사실 그 정도인지 잘 모르겠음)
마이크로소프트의 Internet Explorer가 2010년 초중반 정도까지 웹브라우저의 세계를 지배하고 있었던 것으로 기억한다.
호환성 문제와 보안 문제, 그리고 구현 가능한 기술에 한계를 해결할 수 없었던 마이크로소프트는 새로운 웹브라우저 Microsoft Egde를 선보였으나 안타깝게도 대다수의 사람들은 Egde를 접한 후 구글의 크롬 웹브라우저를 설치하여 사용하기 시작하였고, 그렇게 웹브라우저 시장의 황제는 크롬이 되었다.
대다수의 일반인은 Internet Explorer(IE), Microsoft Egde(Egde), Chrome 이 세 가지 웹브라우저만을 사용해 왔을 것이다.
일반인의 웹브라우저 변경 패턴을 예상해 보자.
CASE 1. IE -> IE -> IE
- 윈도우10으로 업그레이드를 안 한 사용자. 원래 쓰던 거 그냥 쓴다.
CASE 2. IE -> Egde -> IE
- 윈도우10으로 OS 업그레이드 후 기본 웹브라우저 Egde 써보니 UI도 뭔가 손에 안 익고 더 안 좋아진 것 같은 느낌을 받고 원래 쓰던 거 찾아서 쓴다.
CASE 3. IE -> Egde -> Chrome
- 윈도우10으로 OS 업그레이드 후 기본 웹브라우저 Egde 써보니 UI도 뭔가 손에 안 익고 더 안 좋아진 것 같긴 한데 일단 쓰다가 Chomre을 접하고 바로
갈아탄 경우다.
CASE 4. IE -> Chrome
- 일찍이 Google의 Chrome이라는 웹브라우저를 알게 된 사람들을 호기심에 한번 써본다. 한번 써보면 다시 IE로 못 돌아가게 되는 마법을 겪은 사람들이다.
필자도 Chrome를 미리 접하고 IE에서는 느끼지 못한 쾌적한 속도와 간결한 UI와 기능을 겪고 Chrome에서 헤어 나오지 못하게 된 사람 중 1인이다.
물론 지금도 매우 만족하며 Chrome 브라우저를 사용 중이다.
보통 웹브라우저는 라면과도 같다. 한번 그 맛에 친숙해지면 취향을 바꾸기가 굉장히 힘들다. 웬만하면 바꾸기도 힘들고 불편함을 못 느끼면 바꿀 필요도 없다.
그런데 요새 크롬으로 네이버에 접속하니 네이버 웨일을 설치하라는 메시지가 자꾸 눈에 들어온다.
혹시나 IE로 접속해도 마찬가지다.
굳이 바꿀 필요는 없다. Chrome에서 Whale로 갈아탈 생각도 전혀 없다.
그런데 너무 눈에 자꾸 거슬리니 한번 설치해 보기로 하자.
Whale브라우저 설치
- 그저 다운로드 후 설치 진행하면 된다. 요새는 정말 사용자 편의에 맞춰 프로그램들이 잘 나온다.
- 설치 후 화면
Whale의 UI는 Chrome과 매우 흡사하다.
따라 했다는 생각이 들어 검색을 해보니 구글에서 오픈소스 프로젝트로 공개한 크로미움 기반으로 만들어진 프로그램이라고 한다.
UI가 Chrome과 비슷하여 거부감이 안 들었고, 첫 배경화면은 뭔가 느낌이 꽤 많이 좋다.(음?)
Chrome의 북마크(즐겨찾기) 기능을 그대로 가져올 수 있고 검색기록 또한 크롬과 공유 가능하다.
크로미움 기반이라 가능한 것인지는 정확히 모르겠으나 어쨋든 초기 세팅 없이 굉장히 편리하게 사용이 가능하다.(음?)
- 검색 기능
주소 입력창에 원하는 검색어를 입력하면 NAVER에 연동되어 바로 검색 결과를 보여준다.
Chrome에서는 주소 입력창에 원하는 검색어를 입력하면 크롬과 연동되어 바로 원하는 검색 결과를 보여준다.
이런 기능은 의외로 상당히 편리하다.
- 캡처 기능
웹브라우저에 캡처 기능이 내장되어 있고, 단축키를 지원한다.
Alt + 1 : 직접 원하는 영역 지정하여 캡처한다.
Alt + 2 : 이미 웹브라우저에서 지정해둔 영역을 선택하여 캡처한다.
Alt + 3 : 웹브라우저 전체 페이지를 캡처한다. 스크를 상단 ~ 하단까지 모두 캡처한다.
Alt + 4 : 모니터상의 전체 화면을 캡처한다.
웹브라우저에 캡처 기능이 내장되어 있다는 게 이렇게 편리하다고 느껴질지 몰랐다.
물론 외부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사용하여도 되는 기능이 지만 필자처럼 윈도우 캡처 기능을 주로 쓰는 사용자들에게 기능은 매우 만족감으로 다가올 것 같다.(꿀 기능)
- 스페이스 기능
왼쪽 화면에서 클릭한 내용을 오른쪽에서는 뷰잉만 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자 만든 기능인 것 같은데 약간 사용용도가 애매하다.
고민 끝에 생각해낸 활용 방법은 쿠팡과 같은 쇼핑 사이트에서 왼쪽에 카테고리를 띄어 놓고 오른쪽에서는 뷰잉만 하도록 활용하는 것이다.
하지만 데스크톱 사이트 방식은 약간 보기 불편함이 있어 모바일 버전으로 변경
뭐 이런 느낌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개인적인 느낌은 별로 활용도가 없는 느낌이다.
어쨌든 있으면 누군가는 사용한다.
- 사이드 패널
V 체크 버튼을 누르면 그림과 같이 사이트 패널이 열린다.
Chrome과 같이 While에서도 확장 프로그램을 지원하여 원하는 기능을 추가할 수 있다.
확장 프로그램 중 택배 배송 조회 기능 추가해보았다(오..)
네이버 쇼핑 기능이다. 사이드 패널로만 쇼핑부터 구매가 가능하다.(오...)
꿀 기능이다. 회사에서 몰래 쇼핑을 하는 경우 매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누군가 다가오면 패널을 닫아 버리면 되기 때문이다.
단축키는 Ctrl + [이다. 순식간에 패널이 닫힌다.
이외에도 웹브라우저 스킨 변경, While 실행 시 나오는 첫 배경화면 변경 등과 같은 기능을 지원한다.
추가로 더 많은 기능이 있겠지만 필자는 이 정도만 사용해 보도록 하겠다.
많은 기대가 없었는 데 사용해보고 나니 생각 이상의 좋은 기능과 편리함을 제공하고 있었다. 사용을 안 해봤으면 몰랐을 While의 모습이었다.
확실히 우리나라 사람들이 많이 사용하는 검색사이트 NAVER 친화적으로 굉장히 잘 만들어진 것으로 보인다.
Chrome이 체계적인 데이터 중심의 느낌이라면 While은 감성적인, 그리고 사용자 친화적인 느낌이 든다.
본인이 좀 더 감성적인 부분이 많은 사람이었다면 While을 사용하면 매우 만족감이 높을 것 같다.
그리고 데이터 위주의 검색이 주를 이루는 사용자라면 Chrome이 확실히 원하는 데이터를 찾기에 접근성이 좋다.
필자는 아마 Chrome과 주로 쓰고 가끔 While을 병행하여 쓸 것 같다.
결국 하고 싶은 말은 생각 이상으로 While 잘 만들었네요. 캡처, 사이드 패널 꿀 기능 인정입니다.
'Daily life > 유용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타바이러스 백신 있다 (0) | 2020.03.26 |
---|---|
코로나 공적 마스크 확보를 위해, 마스크 알리미 사이트 모음 (2) | 2020.03.10 |